한때는 영웅이었고, 용사였다. 국가유공자 우대까지 받았다. 지금은 달라졌다. 낯선 땅에서 '적응'을 고민하는 처지다. 북한이탈주민이다. 이들을 칭하는 용어도 시대에 따라 바뀌었다. 처음에는 경제난으로 북한을 탈출하는 주민이 늘면서 '탈북자'라고 불렀다. 90년대 초반이다. 그들의 숫자가 점차 늘면서 법이 생겼다. 1997년 제정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이다. '귀순'의 개념도 '북이탈'로 바뀌었다. 그들은 여전히 탈북자로 불리었다.
2005년 정부는 부정적 인식의 탈북자를 대신해 '새터민'으로 바꿨다. '새로운 터전에서 삶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는 순우리말이다. 탈북단체들이 반대했다. 새터민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정부도 새터민이라는 용어 사용을 자제한다고 발표했다. 그렇게 그들은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으로 불리고 있다.
광주에도 상당한 이들이 살고 있다. 올 9월 현재 621명이다. 꾸준히 느는 추세다. 지난해 42명이 늘었고 올해는 지난해보다 6명이 늘었다. 광산구에 330명으로 가장 많다. 북구에 180명, 서구 88명, 남구 18명, 동구 5명 등이다. 전국적으로는 3만여명에 달한다. 서울에 6692명이 살고 있고, 인천에 2703명이 산다. 광주는 서울, 인천, 부산, 대구에 이어 북한이탈주민이 많이 살고 있다.
그들의 정착 지원을 위한 제도는 많다. '광주전남북한이탈주민지원센터'가 운영 중이고, 한해 1억5000여만원의 예산도 지원된다. 올해 들어서도 북한이탈주민지원 자활프로그램에 2500여만원, 정착지원에 500만원 등을 지원했다. 북한이탈주민지원 지역협의회도 구성돼 그들의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힘겨운 그들이다.
남북은 수십 년 간 서로 다른 이념체제와 이질화된 문화 속에서 살아왔다. 가치관의 차이, 사회문화적 이질성은 당연한 현상이다.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ㆍ심리적ㆍ정서적으로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그들에 대한 따가운 '눈총'은 여전하다. "마치 간첩이라도 되는 것처럼 색안경부터 끼고 본다"고 말하는 그들, 항상 누군가의 시선으로부터 감시 아닌 감시를 받는 그들이다. 색안경이 아닌 같은 '국민','이웃'으로 바라봐야 할 이유다. 그들은 먼 이웃이 아니라 우리가 관심을 두고 지켜봐야 할 형제이자 가까운 친구이기 때문이다.
'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영웅, 김호중 '극과 극' 행보 (0) | 2024.05.27 |
---|---|
워라밸 (0) | 2024.05.24 |
영화 '1987'을 보고 나서 (0) | 2024.05.24 |
총선, 세대교체 그리고 광주전남 (0) | 2024.05.21 |
무안국제공항 (0) | 2024.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