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넋두리

귀농/귀촌의 현실

반응형

지방소멸, 무섭지만 현실이 될 날도 멀지 않았다. 대표적인 농도인 전남의 경우 더 심각하다. 전남은 농림어업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타 지역에 비해 높다. 전남의 농어촌을 중심으로 고령화는 심화된 상황. '지역 내 총생산(GRDP)' 기준 7.9%(경상가격 기준, 2020년)로 전국평균(1.9%)을 크게 웃돈다. 고령화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지방소멸 위험도 심각한 수준이다. 22개 시·군 중 17개 시군이 '소멸위험'에 처해 있다. 읍·면·동으로 범위를 좀 더 세분화하면, 323개 읍·면·동 중 85.4%인 276곳이 '소멸위험' 지역에 속한다.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다. 276곳 중 220곳은 '소멸고위험'이고, 56곳인 '소멸위험진입' 단계다. 전남 기초단체에서 귀농·귀촌·귀어 등 인구 늘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배경이다. 귀농·귀촌을 통한 인구 유입은 지역민의 순유출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청년층의 장기 정착을 통해 출생아 수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전남으로의 귀농·귀어·귀촌인 매년 4만명 정도다.

그런데 청년층의 귀농·귀촌은 조금 아쉽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내놓은 '전남지역 귀농귀촌 현황과 시사점'이란 자료를 보면 전남으로의 귀농·귀촌인 중 50~60대 비중이 2013년 28.9%에서 2021년에는 38.2%로 늘었다. 반면 30대 이상 비중은 2013년 42.1%에서 2021년 37.3%로 줄어들었다. 청년층은 경험과 자본이 취약하기 때문이다. 그들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과 생활 기반 마련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 등의 정책이 필요한 까닭이다. 귀농·귀촌하려는 청년들에게 '일자리'도 중요한 문제다. 같은 자료를 보면 '귀촌 사유' 1순위를 '일자리'로 응답한 비중은 40대 이하 연령에서 가장 높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연령대별 주요 귀촌사유 누적 비중을 보면 20대 이하가 49.7%로 가장 높다. 30대가 36.0%, 40대 35.5%다. 이 탓에 이주지역 선택도 일자리가 많은 지역으로 집중되는 현실이다.

통계만으로 확인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실제로 귀농한 청년층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귀농·귀촌 1~2년은 자기 만족감에 그럭저럭 귀농·귀촌 생활을 이어간다. 그러나 이후에는 일자리 등 먹고사는 문제에 부딪히며 결국엔 다시 도시로 떠나고 있다. 결국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청년들은 계속 도시로 떠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반응형

'넋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 '518'과 광주  (0) 2024.05.20
지방소멸  (0) 2024.05.20
고약해  (0) 2024.05.20
10월26일  (0) 2024.05.20
조선업 인력난  (0) 2024.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