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또 선을 넘어섰다. 역사 왜곡 문제다.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 우기는 수준이 아니다. 과거사 왜곡이 더 노골적이고 집요하다. 그들은 고교 2학년 이상이 내년부터 사용할 교과서 239종에 대한 검정 결과 발표하면서 역사를 다시 왜곡했다.
어이가 없다.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 연행'이란 표현이 '동원'으로 수정했다. 일본군 위안부, 종군 위안부 등 일본군의 책임을 인식하는 단어가 모두 삭제되고 위안부로 통일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아예 다루지 않은 교과서도 상당수다. 위안부 문제를 다룬 교과서도 일본군이 관여했다는 점을 배제하거나 강제적이었다는 점을 모호하게 기술하는 등 축소·은폐했다. '가해의 역사'를 지우려는 시도다. 과거의 전쟁이 침략 전쟁이었고, 식민지를 강제로 지배했다는 '가학적인 역사관'을 지우려는 정치적 의도가 담겨있음에 틀림없다.
여기저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외교부는 성명을 내 일본의 역사 왜곡을 비판하고, 항의했다.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가릴 것 없이 일본의 과거사 왜곡을 비판하고 나섰다. 교사들도 일본을 "반성하지 않는 국가"라고 규정하고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광주시교육청에서는 '긴급' 계기 교육을 하기로 했다. 독도침탈과 강제노역, 일본군 위안부 등 쟁점 관련 교과 연계수업이다. 일본의 역사 왜곡을 규탄하는 현수막도 함께 게㎟시하기로 했다.
아쉬운 대목도 있다. 차기 정부를 이끌 윤석열 당선인이다. 첫 반응은 '거리두기'였다. "당선인 입장이기 때문에 외교에 대해 입장을 밝히는 건 부적절하다"고 했다.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자 "윤 당선인은 후보 시절부터 한일 양국의 발전적 관계를 희망하지만, 이를 위해선 올바른 역사 인식과 과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전제돼야 함을 수차례 밝혀왔다"며 "앞으로 그 어떤 역사 왜곡에도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했다.
당연한 이야기다. 국민은 일본의 역사 왜곡에 단호히 말할 수 있는 대통령을 원한다. 올바른 역사 인식이 있을 때 미래세대의 우호 증진은 물론 상호발전도 도모할 수 있을 터다.
해마다 반복되는 그들의 역사 왜곡, 이번에는 유독 노골적이고 집요하다. '그 어떤 역사 왜곡에도 단호하게 대처하겠다"는 윤석열 당선인. 그가 이끌 새 정부의 외교 역량이 시험대에 오른 모양새다.